Marjan Satrapi (1969~)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이란출신 만화가, 일러스트 작가, 영화 감독 이란혁명의 격동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오스트리아 빈의 프랑스 학교로 유학 다시 이란에 돌아와 시각예술 공부, 이혼 후 프랑스로 이주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그래픽 노블 2007년 Vincent Paronnaud 와 공동으로 애니메이션 영화화 키아라 마스트로얀니 (마르잔 목소리), 카트린느 드뇌브 (마르잔 엄마 목소리) 1. 소녀의 성장기: 이중의 경계 • 아이 -- 어른 • 이란 -- 서구 유럽 개인적 경계: 개인적 성장, 자신의 가치관과 취향, 삶의 지향 등을 정립해가는 시기 국가적 경계: 이란의 역사적 변동 시기, 반정부 운동 이후 종교 세력의 근본주의적 성향의 정치 (팔라비 왕조의 부패..
의례의 시간과 영화의 시간 의례 영화 시간의 주기적인 소거와 반복 ->시간의 역전 (성찬식) 일상의 시간의 흐름을 끊고 과거를 끊임없이 재현해 의미를 얻는다. 시간을 직접적으로 사로잡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을 잡아 놓고 의미를 부여 의례와 마찬가지 새로운 시간 체험 1. 반복되는 과거의 시간이지만 현재가 변하기 때문에 계속 달라지는 시간 2. 압축될 수도 있고, 연장될 수도 있는 시간 3. 의례를 통해 과거의 봉인된 시간 재현 / 편집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의 재배치 4. 신화적 시간과 현실의 시간이 공명, 조우, 뒤섞임 / 영화 속 시간과 오늘날이 공명 5. Anachronism(시대착오): 다른 시간에 있는 것들을 나란히 놓아서 착오를 일으키는 것. (몽타주의 효과)..
“신화는 말해진 것, 의례는 행해진 것이다.” 의례: 사람들의 몸짓으로 이루어진 종교활동 è 집단의 결속,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행위들, 코드화된 사회적 행위 () è 감정 표현, 의사 소통 등이 수반된 수행적 행위, 의미를 전달하려는 의도 (니니안 스마트) è 일상으로부터 또다른 컨텍스트로의 전이이며, 이러한 또 다른 콘텍스트 안에서 일상은 변화 (Bobby Alexander) “ è 의례란 “행해진 것 (dromena)” 이며, 비일상성이 두드러진 행위, 시간을 소거하며(시간을 멈추거나 되돌림) 새로운 실재를 낳는(나가 사라지고 새로운 실재가 태어남), 의도적이고 구체적인 행위. (정진홍) è 일상에 초점과 표현과 성스러움을 부여하기 위해 행위와 시간을 의도적으로 구성하는 것. 의도적으로 창출된 성스..
종교와 공포 영화 공포 영화는 종교적인 소재를 많이 차용한다. 공포 영화 속 ‘악’은 종교적인 전통 안에서 구축될 경우가 많다 - 사탄, 악마의 이미지 - 종교와 미신, 종교와 컬트(cult)의 구분: 타인의 종교에 대한 편견을 갖고 악마화 한다. (도덕성은 종교의 조건이 아니다.) - 삶과 죽음의 경계: 미이라, 유령, 좀비 (Zombie) (경계는 지켜져야 하는 것이기에, 경계를 넘을 때 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위 존재들은 금기를 건드리기 때문에 두려움을 유발한다. 공포영화에 대한 양가적 감정 숭고함: ‘무서운’ 동시에 ‘끌리는’ 양가적 감정, 일정한 거리감이 중요함. 종교적 경험- ‘성스러움’에 대한 경험의 특징 절대적인 힘인 ‘누멘’에 관한 경험 = ‘절대적 타자’에 대한 경험 mysterium ..
영화의 시작 아주 오래전 모든 것으로부터 떨어진 곳: 신화적 시공간 설정 그녀: 목소리를 잃은 공주: 인어공주를 연상시킴 사랑과 상실, 괴물에 대한 이야기: 신화와 동화의 구조 엘라이자 아침마다 달걀을 삶으며 자위를 함: 활기차게 하루를 보내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판단함. 극장 위에서 친구 Giles와 지냄. 영화를 보며 계단 댄스 이야기를 하고 실제 춤을 춤: 영화를 현실로 재현하는 인물 만남: 낯선 존재와의 조우 과학자: 탐구의 대상 --- 보존 스트릭랜드, 정부: 증오의 대상 “asset” --- 파괴 일라이자: 공감의 대상 --- 사랑 자일스: 낯섦 - 오해/상처 – 이해 타자 (리차드 커니) 이방인 괴물 신 외지인(경계 밖에 있는 인물) 야만인 (βάρβαρος (barbaros) 그리스어..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영웅신화/통과의례 라이온킹 - 전형적인 영웅신화, 조력자, 정신적 스승, 여신(유혹자) 등장/ 통과 의례의 구도를 보여주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아들의 죄책감 극복 과정을 통해 아버지 세대와 화해하는 아들 세대, 조년 중심의 영웅신화 인어공주 – 인어공주부터 OST와 스토리가 함께 감 / 왕자와의 결혼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는 주인공, 결혼을 통해서 여성의 삶이 완성된다는 구도 / 하지만 아버지가 강요하는 물 속의 공주로서 조용히 사는 삶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삶을 살려고 하는 인물 미녀와 야수 – 역시 왕자와의 결혼으로 결론을 맺음 / 주인공 벨은 독립적인 성격임, 책을 읽는 여성이라는 것 자체가 성 역할을 탈출했다는 것을 의미함 / 자신에게 구애하는 사람을 물리치고 자기 스스로 사랑..
통과의례와 영웅신화의 구도 통과의례 rite of passage: 집단, 영역, 지위, 나이, 신분 등의 변화가 생길 때 행해지는 의례, 사회가 만든 수행적 범주의 변화이며, 앞으로 해야 할 일이 기대되고, 가능해지며, 강요된다. (삶의 주기에서 중요한 시점에서 행해지는 의례라는 정의는 그 일들이 자연적인 일들이라는 관점이 녹아 들어 있으며, 수동적이다.) 분리(일상적인 공간에서 분리)-> 전이(시련, 고난)-> 통합(새로운 지위의 획득) -기존 집단으로부터의 분리된다. (물리적 분리를 포함한다.) -일상 공간으로부터의 분리되어 특별한 공간, 의례적 공간이 창출된다. -이도 저도 아닌 상태(betwixt and between)이며 경계에 있는 상태이다. -위험하고, 경계해야 하는 경계임과 동시에 성스러운..
제롬 빅스비(Jerome Bixby, 1923- 1998) 미국의 SF 작가 대표작: ‘즐거운 인생 It’s a Good Life’ (1953), 후에 The Twilight Zone 시리즈의 한 에피소드로 각색, TV 시리즈 Star Trek의 각본 집필, 영화 Fantastic Voyage (1967) 각본 공동 집필 The Man from Earth 만 4천년 넘게 살아왔다고 주장하는 역사학 교수 존 올드맨(John Oldman)과 이 이야기에 대한 동료들의 반응(생물학자, 신학자, 인류학자, 심리학자, 고고학자, 학생 등) 존 올드맨에 대한 두 가지 해석 가능성 1. 죽지 않는 존재로서의 존 -신화의 주인공이자 초자연적 존재가 된다. 신화는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이야기이다. 2. 이야기를 만들어내..
감독 이 안 (Ang Lee, 1954~) 1991년 으로 주목받기 시작 1995년 로 헐리우드 진출 [제인 오스틴 원작] , , , , 등 감독 파이의 종교: 파이는 종교에 대한 큰 관심이 있었음. l 힌두교 “3천 3백만의 신들”, 수많은 신들이 있다. 자연, 윤리, 우주 등 세상 모든 것의 신들을 믿는다. 힌두교에는 세 주신이 있는데 각각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이다. 힌두교 후기에는 브라흐마가 창조를 맡고, 비슈누는 세계를 유지하고 시바가 파괴하고 재창조함을 반복하는 순환 구조가 나타났다. cf) Henotheism (선택적 일신교, 단일신교) 크리슈나 입 속의 우주 (화신, 아바타: 몸을 빌리는 것. 크리쉬나는 비슈누의 화신) “어느날 같이 놀고 있던 아이들이 야쇼드하에게 와서 일렀다. “크리쉬..
우디 앨런 (Woody Allen, 1935 ~ ) :뉴욕 출신 코미디언, 작가, 배우, 영화감독, 로맨스코미디의 걸작들을 만든 걸로 평가받지만 지금의 시선에선 여러 남성중심적 사고, 여성 대상화가 문제가 된다. 그의 작품에는 신의 존재 유뮤를 묻는 인물들이 많이 나온다. “신은 항상 숨어버리므로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신이 있다면 홀로코스트는 어떻게 있을 수 있는가?” “전지전능한 신이 있는데, 왜 악은 존재하는가? 죄를 짓고도 왜 벌을 받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긍정하려는 노력들이 있고 타인들과의 관계가 결국 인생의 의미라는 결론을 이끌어 내곤 한다. 영화 카이로의 붉은 장미는 ‘영화 속 영화’라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 무능하고 폭력적인 남편과 사는..